아재의 시선
대항해시대5 기타 팁 정리 본문
1. 대항해시대2 배경음악
대항해시대5의 배경음악도 신경을 많이 썼겠지만 대항해시대2의 추억을 생각해보면 대항해시대5의 배경음을 끄고, 대항해시대2의 배경음으로 재생하는 것도 색다른 매력이다. 단 게임내에서 구현되는 건 아니고 따로 재생을 해야한다.
대항해시대 2의 배경음이 있는 블로그를 링크해둔다. http://jun1517.tistory.com/176
2. 노가다는 순서대로
급한 레벨업에 매달리기 보다는 결국 70렙을 돌파하기 위해 40개의 해도미션을 깨야하므로 브리튼섬 - 이베리아 - 프랑스 서해안 - 북해와 같은 루트로 노가다와 해도미션을 병행해 가는게 좋다.
3. 돛
선박장비로 나오는 돛은 3가지 종류가 있다. 근거리, 중거리, 원거리로 구분되는 돛은 버그인지 현재 특이하게 적용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우선 수동전투일때는 자신의 공격형태과 같은 종류의 돛이 기능이 활성화되어 방어력이 뻥튀기된다. 예를 들어 원거리 돛을 달고 수동전투에서 원거리 공격을 할때 방어력이 뻥튀기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자동전투일때에는 적의 공격형태에 맞추어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즉, 적이 원거리 특기의 배라면 원거리 돛을 달아야하는 것이다. 물론 방어력 뻥튀기라는 점에서 좋기는 하지만 초반 포격전때에는 방어력이 계산이 안되기에 철판, 동판, 나무판 등 순수방어력을 올려주는 선박장비가 더 인기가 있다.
4. 평균 항해 능력치
대항님이 제보해주신 내용처럼 행동력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평균 항해능력치가 중요하다. 현재 크게 2200과 8800으로 구분되는 평균 항해 능력치는 만약 모든 함에 넣을 높은 등급의 항해사가 없다면 기함에만 항해치가 가장 높은 카드를 배치, 나머지 선박에는 빈칸으로 하고 대여한 친구선박의 항해사와 함께 8800이라는 평균치를 노려봐도 좋다. 대여한 선박의 탐험수치는 같이 계산되지 않는것 같다. 이후는 10200..
5. 선박상수
http://nacancel.tistory.com/12
자세한 사항은 위에서 찾아볼 수 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LdZ0zkP6sNNRhMhpwLc-vX6RL3rEBAkBVahQ9cFZ_s4/edit?usp=sharing 엑셀로 정리해 보았지만 단순히 알아두는게 편하다. 선박상수 72까지는 7200정도의 전투 능력치 이상이되면 좋고 그 이상은 더 필요하다. 대강 선박상수x100수치의 80%에 달하는 능력치를 가진 항해사면 그 이하의 배보다 높은 성능을 보일수 있다. 이정도로 정리해도 좋을 듯하다. 항해사가 안좋으면 그냥 선박상수가 낮은게 오히려 능력치가 좋을 수 있다는 것!. 예를 들어 선박상수가 108이라면 10800에 80%정도인 8640 정도의 수치를 가진 항해사가 있다면 갤리, 경갤리온, 핀네스를 타보는 것도 좋다. |
공격력 | 방어력 | 선박 상수 | |
구식 경갤리온 |
40 | 10 | 36 |
바사 |
24 | 6 | 27 |
개조 바사 |
32 | 8 | 30 |
다우 | 50 | 10 | 36 |
슬루프 | 70 | 14 | 36 |
삼부크 | 100 | 20 | 72 |
대형 카라벨 | 150 | 30 | 108 |
경 갤리 | 40 | 10 | 36 |
한자 코그 | 40 | 10 | 36 |
베르간딘 | 40 | 10 | 36 |
커터 | 100 | 20 | 72 |
프류트 | 100 | 20 | 72 |
케치 |
100 | 20 | 72 |
갤리 | 150 | 30 | 108 |
경갤리온 | 150 | 30 | 108 |
핀네스 | 150 | 30 | 108 |
플랜더스갤리 |
200 | 40 | 144 |
프리깃 | 200 | 40 | 144 |
스쿠너 | 200 | 40 | 144 |
타렛테 | 24 | 6 | 27 |
카라벨 | 50 | 10 | 36 |
페르카 | 70 | 14 | 36 |
카락 | 100 | 20 | 72 |
바스 | 100 | 20 | 72 |
6. 엠마의 스킬 - 투자 관련
연구광장에 올라와 있는 투자 관련 공략이다.
위에 링크를 가서 읽어보면 좋을 것이다. 요약하자면
1. 엠마 스킬 발동시 뒷면이 파란색이면 0-4 숫자중 하나이고 빨간색이면 5-9 숫자중 하나이다
2. 한번 나온 숫자는 다시는 안나온다
를 알수 있다. 10개의 카드만으로 하는 미니게임이기에 시작에 바닥에 3장이 깔리는 카드를 제외하면 앞으로 나올 수 있는
카드는 7장이다. 여기서 2 3 8 이 깔리고 파랑이 뜬다면 0 1 4 중 하나 일것이다. 8을 골라 0이나 1을 노려봐도 되고, 2를 골라 1이 나온다면 1 2 3 8 이 오픈된 상태고, 내 숫자는 3이 된 상태이다. 여기서 또다시 파랑이 뜬다면 0 이나 4 이므로 무조건 까도 되는 상태가 되지만 결국 7로 마무리를 해야한다.
7. 직통루트
이미 고렙이 되고 해도미션노가다를 하거나, 시작한 사람도 한번 보면 좋을 공략이다.
효율적 이동을 위한 직통루트를 미리 공략하는 정성어린 공략이다.
베네치아 자금을 전달 | 3 | 5 시간 | 스카우트 티켓 실버 × 1 | 30 | 금화 15000 베네치아에 전달 | |
코펜하겐에 자금을 전달 | 4 | 6 시간 | 스카우트 티켓 실버 × 1 | 15 | 금화 18000 코펜하겐에 전달 | |
카파에 자금을 전달 | 3 | 5 시간 | 스카우트 티켓 실버 × 1 | 30 | 금화 15000을 카파에 전달 |
|
해당 도시에 맞는 모험 or 교역 or 전투수치 / 도시레벨 *카드숫자 보너스(9일때 보너스)
로 도시 경험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분모인 도시레벨이 1일때 폭렙을 노리는 전략이 있다. 각 해당 도시에 맞는 자신의 수치가 3만이상이 될때 (높으면 높을수록 크게 터진다.) 투자 시작시 0이 바닥에 깔리고 카드를 뒤짚어 바로 9가 나올때까지 새로고침이나 창을 꺼버려서 리셋하는 전략으로 행동력이 사라지기는 하지만 한방의 폭렙은 비효율적이라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번 그랜드 오픈으로 첫번째 오픈되는 카드들이 고정되는 업데이트가 이루어져 독특한 방식으로 9를 만들어야한다.
만약 1,2,3이 바닥에 깔려있고 1을 선택하고 오픈을 했는데 6이 나오는 경우 새로고침을 눌러서 다시 투자를 해보면 바닥에 1,2,3이 깔리고 오픈할 카드는 6이므로 3을 선택하고 오픈을 선택해주면 9가 되는 것이다.
9. 네델란드 기사퀘 발견물
보스니아만 거점에서 발굴해야하는 4층 데인왕의 금화와 해도미션의 2층 여해적의 전승 3층 알뷔다 반지 5층 알뷔다 투구는 같이 해결하면 좋지만 보스니아만 거점의 발굴 지점은 두군데라는 걸 명심하자. 보스니아만 난파선에서 발굴해야하는게 아니고 발트해 난파선에서 발굴해야한다.
아루뷔다의 투구 | 종교 유물 | ★ 9 | 발트 3 | 보스니아 만 거점 | 발트해의 난파선 | 5 공주님의 선장 실 |
아루뷔다 반지 | 종교 유물 | ★ 6 | 발트 3 | 보스니아 만 거점 | 발트해의 난파선 | 3 썩은 병기 |
데인 왕 금화 | 역사 유물 | ★ 7 | 발트 3 | 보스니아 만 거점 | 발트해의 난파선 | 4 난파선 보물 창고 |
여자 해적 전승 | 역사 유물 | ★ 4 | 발트 3 | 보스니아 만 거점 | 발트해의 난파선 | 2 깨진 갑판 |
http://nacancel.tistory.com/18
예) 암스테르담에서 국적변경 후
- 낭트노가다하면서 프랑스 서쪽해도미션 공략
- 플리머스 노가다하면서 브리튼해도미션 공략
- 암스에서 노가다하면서 북유럽 해도미션 공략
- 스톡홀롬에서 노가다하면서 발트해 해도미션 공략
- 알렉산드리아에서 노가다하면서 이집트 해도미션공략
- 알제에서 노가다(열전노가다)하면서 아드리아해 미션공략 & 오른쪽 거점공략
(단순히 해도미션공략이라고 적어놨지만 대부분 거점에서 발굴을 통한 해도 입수도 포함된다는걸 알아두자.)
+ 흑해1 해도미션은 나뷔드 열전몹으로 할수 있다.